"기술·경제적 여력 없는 영세업체용 HACCP 적용방안 모색해야"
"기술·경제적 여력 없는 영세업체용 HACCP 적용방안 모색해야"
  • 김현옥 기자
  • 승인 2017.10.27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주도 리서치 그룹 운영 및 전문 인력 양성 필요
홍종해 강원대 교수, '해썹코리아2017' 국제세미나서 지적

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최근 HACCP의 효율적 확대 적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HACCP KOREA 2017' 국제 세미나 및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최근 HACCP의 효율적 확대 적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HACCP KOREA 2017' 국제 세미나 및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올해 2월 식품과 축산물의 안전관리인증 업무를 통합해 새롭게 출범한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이 해썹(HACCP) 인증 확대를 통한 식품안전성 확보와 국내 식품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26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정부의 식품안전관리 정책을 공유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 해썹 정책의 미래 전략을 진단하는 ‘HACCP KOREA 2017’ 국제세미나 및 정책포럼을 개최해 각국 정부와 학계 업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했다.

‘한·중·일 HACCP 하모니제이션’을 주제로 열린 국제 세미나는 중국질검총국 산하 국가인증허가감독관리위원회(CNCA)와 일본 농림수산성(MAFF),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담당 공무원이 각각 자국의 HACCP 제도 및 식품안전관리 정책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관련 내용 참조]

국제세미나는 3국의 최신 HACCP 인증 동향을 이해함으로써 동반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한 점과 특히 올해 식품과 축산물 HACCP 인증이 통합 일원화된 국내 HACCP 제도를 국외에 소개한 점에서 의미가 컸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날 세미나 좌장을 맡은 강원대 홍종해 교수는 “축산식품에 대한 해썹을 도입한 지 1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국내 기술은 상당 수준 올라섰다”고 평가하면서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해야하는 소수 대기업의 경우 정부의 기준보다 까다롭게 관리를 하고 있으나, 기술과 경제적 여력이 없는 대다수 영세업체가 문제인 만큼 우리보다 앞선 일본의 제도를 면밀히 검토하고 당사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면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홍 교수는 이어 “이미 유통되고 있는 식재료나 식품물량의 80%는 해썹 인증을 받은 제품이지만 실제로 인증 받은 업체는 15%에 불과해 인증률로 업무를 평가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지적한 뒤 “정부는 해썹 인증을 확대 적용하려고만 하지 말고 농장에서 식탁(Farm to Table)에 이르는 다양한 업종과 업체의 규모에 맞는 탄력적 적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리서치그룹을 운영하는 한편 전문인력 양성에도 힘써야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