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대장균 오염여부 12시간이면 판독 가능한 신속검출기 개발
농식품 대장균 오염여부 12시간이면 판독 가능한 신속검출기 개발
  • 김현옥 기자
  • 승인 2019.04.17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감도 높이면 대장균 1마리도 규명...비용은 1/10 저렴
공간 활용성 높아 급식소 샐러드바서도 사용 가능
농진청, 사물인터넷 기술 접목... 휴대전화로 실시간 전송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해 빠르고 간편하게 대장균군과 대장균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대장균(군) 간편 검출기’가 개발돼 농식품 가공업체에 희소식이 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2017년 개발한 ‘대장균군·대장균 간이 검출법 및 검출 장치’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장치에 있는 카메라로 검사 결과를 촬영 및 판독한 결과를 휴대전화로 실시간 전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농식품 생산·가공 현장에서는 안전한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위생 지표 세균인 대장균군과 대장균을 검사하는데, 기존의 표준검사법은 대장균(군)을 분리, 최종 확정하기까지 3∼4일 걸리고, 배양기나 멸균기 등 고가의 장비가 필요해 현장 활용이 어려웠다.

그러나 농진청이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대장균(군) 간편검출기는 시료의 오염도에 따라 12∼18시간 내에 대장균(군)을 검출할 수 있고, 조작도 간단해 일반인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분석비용 3∼10배 이상 감소 경제적 부담 낮춰

검출 감도를 높이면 대장균 1마리도 검출할 수 있고, 기존 검출법에 비해 분석 비용은 건당 30,000원이던 것을 2,500∼5,000원으로 최대 1/10까지 낮출 수 있어 경제적이다.

특히 공간 활용성(장비크기: 40cm×30cm)이 높아 농업 현장이나 급식소, 식품회사, 샐러드바 등 다양한 장소에서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 검출기는 산업체에 기술 이전돼 생산 중이며, 농촌진흥청 신기술시범사업을 통해 강원 강릉과 철원·화천, 전남 곡성, 경북 경주·고령의 6곳의 농산물 생산단체, 농식품 가공업체에 보급할 예정이다.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팀 류경열 팀장은 “스마트 대장균(군) 검출기가 보급되면 농산물 생산·가공 현장, 대량급식소 등의 위생 상태를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어 국민 식생활 안전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현장 활용 사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