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이종순)이 디지털 농업을 주제로 온라인 언급량과 키워드를 분석한 ‘FATI(Farm Trend&Issue)’보고서 11호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디지털 농업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최근 4년간(’20~’23년)의 온라인 데이터 73만 건 이상을 분석했다.
디지털 농업은 농식품의 생산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모든 과정에 걸쳐 현대적인 기술을 활용하는 농업을 말한다. 농촌 인력 부족 문제 해결뿐 아니라, 생산성과 수익성 증가까지 기대해 볼 수 있어 최근 주목받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로봇 등 첨단기술을 농업에 접목하면서 디지털 농업에 대한 긍정 여론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농업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의견은 ’22년 45%에서 ’23년 65%로 20%p 증가했으며, 이는 디지털 농업의 농촌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농산물 가격을 안정화하는 등 긍정적 효과를 기대하는 여론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농업에 대한 온라인 정보량도 ’20년 13.2만 건에서 ’22년 23.8만 건으로 약 1.8배 증가했다. ’23년에는 약 29.5만 건의 정보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어 디지털 농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디지털 농업과 관련해 언급이 가장 많았던 키워드는 ‘스마트팜(73,232건)’이다. 이는 디지털 농업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디지털 농업의 기술적 측면에 대한 관심도 높아져, 드론·로봇(12,937건), 인공지능(6,150건)에 대한 언급량도 크게 증가했다. 더불어 기후변화, 인구 등 사회적 문제 대응과 관련한 키워드의 언급량 증가세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디지털 농업에 대한 긍정·부정 인식을 분석한 결과, 디지털 농업의 인공지능, 자동화 등 기술적 측면과 친환경 측면에서 긍정 인식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초기 비용에 대한 부담과 최신 기술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부정적 언급도 일부 나타났다.
분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농정원이 발행하는 농업·농촌 이슈 트렌드보고서 ‘FATI(Farm Trend&Issue)’ 11호에 담았으며, 농정원 홈페이지(www.epis.or.kr) 자료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농정원 이종순 원장은 “농정원은 스마트팜 보급 확대, 디지털 농정서비스 지원 등 디지털 농업을 선도하는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며 “농업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통해 농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