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부처 영양성분 데이터 통합 정비한 DB 4만 6천건 개방...디지털헬스 등 관련 산업 활용 기대
4개부처 영양성분 데이터 통합 정비한 DB 4만 6천건 개방...디지털헬스 등 관련 산업 활용 기대
  • 김현옥 기자
  • 승인 2022.06.29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범정부 협업으로 수요자 편의성 높인 영양성분데이터로 개선

그동안 정부 각 부처에서 제각각 생산 관리하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가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데이터베이스로 정비돼 개방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등 4개 부처는 공공데이터 관리지침에 따라 민간의 활용 수요 등을 고려해 데이터 형식을 동일한 항목과 형식으로 묶어서 표준화한 ‘식품영양성분 통합데이터베이스(이하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방하는 통합데이터베이스는 △원재료성 식품(농‧축‧수산물) △가공식품(상용제품) △음식(외식‧프랜차이즈 조리식품) △통합식품(원재료성식품+가공식품+음식)으로 약 4만 6천건 식품에 대한 영양성분(최대 24개), 식품분류체계, 데이터 출처, 생성일자 등 정보를 제공한다.

정부는 오는 12월까지 식품코드 등을 정비하고 데이터를 추가(1만 4천개)로 확충해 총 6만개(누적)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개방할 계획이다.

통합데이터베이스 개방은 품질 높은 공공데이터를 수요자가 활용하기 쉽도록 표준을 제시하기 위해 정부 부처가 긴밀하게 협의해 마련한 공공데이터 표준화 정책의 선도 사례이다.

최근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를 적용․융합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가 다양한 분야(급식, 스마트 가전 등)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정부에서  생산․관리하는 데이터의 형식이 기관별로 상이해 연계․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요자가 추가로 가공․정제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부처별로 생산한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제공 항목, 표기 형식 등이 다르고 중복 데이터가 존재하므로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정비를 위한 비용이 발생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작년 6월 부처 간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산업계와 학계가 참여하는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데이터 표준화를 추진했다.

그 결과, 지난 4월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항목, 표기형식, 분류체계 등을 확정해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제공표준으로 제정하고 각 부처의 보유 데이터를 전면 정비해 통합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정부는 앞으로도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생산‧제공을 수요자 중심으로 전환해 다양한 분야에서 가치 있게 활용되도록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통합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가칭)식품영양성분통합데이터베이스 공동 운영 규정’을 제정하고, 어린이식단작성프로그램(식약처), 나이스 학교급식시스템(교육부), 공공급식플랫폼(농식품부) 등 공공시스템과 연계해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생산․활용 주체가 유기적으로 상호 보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수요가 있는 식품영양성분 데이터 현황을 파악해 수요자가 원하는 형태, 표준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통합데이터베이스를 구축‧개방함으로써 국민의 영양관리는 물론 디지털 헬스, 푸드테크 등 관련 산업 등에서도 식품영양성분  데이터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통합데이터베이스는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누구나 파일을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고, 오픈 API로도 제공된다.

오픈 API (Ope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버스정보·날씨정보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값이 변경되는 데이터를 웹/앱 프로그램 개발 등에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