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저한 선제적 방역관리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유입 차단해야"
"철저한 선제적 방역관리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유입 차단해야"
  • FOODICON
  • 승인 2019.01.07 2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 성명서 발표

작년 8월,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 처음 발생한 데 이어 최근 중국 본토와 가까운 대만 최전방 섬인 진먼현의 해변에 떠내려 온 돼지 사체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는 소식에 비상이 걸렸다.

대만 농업위원회에 따르면 해당 ASF 바이러스는 중국 내 유행 중인 바이러스와 유전적으로 일치해 중국에서 떠내려 온 돼지 아니냐는 추정이 나오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재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이 93차례 발생했으며,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장기간 발생·확산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중국 주변국인 우리나라도 자유로울 수 없어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국에서 이 병이 광범위하게 전파되고 있는 이유로는 감염된 돼지의 혈액이 들어간 사료 사용, 감염된 돼지의 불법 도축 및 유통·판매, 도축 검사 부실, 살아있는 돼지의 장거리 운송, 운송차량의 소독 등 방역관리 부실 등이 지적되고 있으며, 농가가 대부분 영세하고 신고체계가 미흡한 점도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되면 돼지는 고열과 림프샘 및 내장출혈 등으로 폐사하고, 폐사율은 100%에 가깝다고 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바이러스는 고기를 얼린 상태에서 1000일, 소금으로 고기를 절인 상태에서 1년까지 살 수 있을 정도로 생존력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 치료제나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지난 8월 불법 반입된 돈육가공품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는 등 위험요소가 곳곳에 도사리고 있어 국내로 유입되지는 않을지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AI, 구제역 등 가축질병으로 인해 축산업이 휘청거리고, 이에 따라 널뛰는 물가와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국내에 이 질병이 반입되면 양돈 산업에는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에 질병의 발생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철저한 방역에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농가의 적극적인 방역 노력만이 질병 발생과 확산을 막을 수 있기에 본 단체에서는 항만이나 공항 등의 국경방역과 농장방역이 철저히 이루어져 발병이 되지 않도록 사전 방역 단계에서 국가검역당국과 농가의 긴밀한 소통 및 예방 관리를 요구하며, 철저하고 적극적인 선제적 방역관리로 아프리카돼지열병 유입을 차단 해주길 정부에 요청하는 바이다.

                                                                                                   2019년 1월 7일 (사)소비자공익네트워크 전국 지부·지회 일동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