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HMR·디저트·맞춤형 이유식 형태로 소비
'농식품' HMR·디저트·맞춤형 이유식 형태로 소비
  • 김현옥 기자
  • 승인 2018.08.23 23: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벽 배송 통해 신선하게 이용...구매 행태도 오프→온라인으로 변화
싱글족 증가로 맛과 영양 살린 가정간편식이 집밥을 대신
디저트 시장은 9조 규모 넘보고 수입과일 소비도 계속 증가
농진청, 28일 빅데이터 분석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

소비자들은 주로 온라인에서 가정간편식(HMR)이나 디저트, 맞춤형 이유식을 구매함으로써 농식품을 소비하며, 새벽 배송을 통해 신선하게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은 생활환경이 빠르게 바뀌면서 농식품 소비 형태도 그에 맞춰 달라지고 있다고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분석 결과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농식품 소비 경향의 변화를 살펴보면 지난 8년간(2010∼2017) 온라인 농식품 구매액은 354% 치솟은 반면 오프라인 구매액은 6% 증가에 그쳤다.

‘싱글족’ 증가와 맞물려 ‘건강과 맛’을 공략한 가정간편식(2017, 3조 원) 시장은 엄마의 ‘집밥’을 대신하며 성장했다.

디저트 시장은 8조9000억 원(2016) 규모로 커진데다 수입 과일 소비도 꾸준히 늘고 있다(2000년 이후 121% 증가).

당일 배송을 뛰어넘는 새벽 배송 시장도 100억 원(2015)대에서 4,000억 원(2018)으로 급성장하며, 신선도에 대한 수요를 반영했다.

20배(2013∼2017) 증가한 친환경 이유식 시장(70억 원)은 아이의 ‘월령(개월 수)별’로 맞춤 재료를 제공하고 있다.

887만 개(2010∼2017) 이상의 가계부 구매 건수와 온라인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28일 오전 농진청에서 열리는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에서 다양한 이야기를 곁들여 더욱 자세히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도시 가구의 가계부에서 엄선한 14품목(식량작물부터 GAP까지)의 구매 동향도 눈길을 끌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가구당 쌀 구매액(2010년 대비)은 28% 줄어든 반면 즉석밥(햇반 등)은 46% 상승한 까닭이 밝혀진다. 파프리카의 경우 가구당 구매액(1만1000원/연)이 2016년 이후 정체 상태로, 이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공개된다.

포도는 ‘캠벨’ 품종에서 ‘거봉’·‘샤인머스캣’ 품종으로 바뀌는 상황에서 구입액(4만7120원/연)이 줄어드는 원인을 진단해 본다.

수입 과일도 ‘선물세트’·‘당도’ 등 긍정적 단어(워드클라우드) 검색이 불과 4년 만에 ‘FTA’·‘칠레산’ 등 부정적 단어를 뛰어 넘은 배경을 짚어본다.

우유는 제자리걸음인 흰우유 소비를 스트링치즈·고메치즈 같은 고급 치즈(2010년 대비 65.6%↑)로 대체해 활로를 찾는 방안을 논의한다.

농산물 구매 시 GAP(88점/100)보다 친환경 인증(92점/100)을 왜 더 중요하게 여기는지에 대한 비밀이 드러난다.

라승용 농진청장은 “농업과 농촌이 지속 가능하려면 소비자가 원하는 바를 찾아야 한다.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가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 농식품 그리고 소비 패턴 등을 읽고 마음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보자.”라고 말했다.

‘2018 농식품 소비트렌드 발표대회’는 농촌진흥청 누리집(www.rda.go.kr)에서 등록 후 참가할 수 있다. 자세한 문의는 농진청 농산업경영과로 전화(☎063-238-1204, 1224, 1226∼30)하면 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